티스토리 뷰
목차
반응형
아이와 외출할 때 손을 잡으려 하면 뿌리치거나 도망가는 행동, 많은 부모님들이 겪는 장면입니다. 하지만 이는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따라 자연스러운 행동일 수 있으며, 시기별로 적절한 대응이 중요합니다.
1. 12개월~24개월 (걷기 시작하는 시기)
특징
- 자기주도성이 강하게 나타남
-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 증가
- ‘내가 할래!’라는 독립적 행동 시작
대처법
- 양손에 장난감이나 인형을 쥐어주는 방법
- 손목줄 또는 유아 하네스 활용
- “이 길은 위험하니까 같이 걸어볼까?” 같은 부드러운 요청
2. 24개월~36개월 (고집이 강해지는 시기)
특징
- 자율성이 발달하며 부모의 지시를 거부함
- “하지 마”라는 말에 반항하기도 함
- 자신의 의지 표현이 강해짐
대처법
- 역할놀이 활용: “오늘은 네가 엄마 손잡아줄래?”
- 선택권 부여: “왼손으로 잡을까? 오른손으로 잡을까?”
- 게임처럼 접근: “누가 오래 잡고 있나 해볼까?”
3. 36개월~5세 (논리력 발달 시기)
특징
- 규칙과 위험에 대해 조금씩 이해함
- 감정 조절은 미숙하지만 대화가 가능
대처법
- 손잡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: "차가 다니는 길이니까."
- “횡단보도 건널 땐 꼭 손잡기” 등의 규칙 사전 약속
- 잘 잡았을 때 칭찬이나 스티커 보상 활용
4. 6세 이상 (자존감과 독립성 발달 시기)
특징
- 공공장소에서 부모와 손잡는 것을 창피해함
- 또래 의식과 ‘큰 아이’라는 자의식 강함
대처법
- 사람 많은 곳에서는 가까이 걷기 등의 안전 교육
- 손잡기 대신 눈맞춤이나 음성신호로 대체
- “네가 앞장서고 내가 뒤에서 지켜볼게” 역할 바꾸기
부모님께 드리는 조언: 아이가 손잡기를 거부한다고 해서 반항하거나 버릇이 없는 건 아닙니다. 아이는 발달 과정에서 자율성과 독립심을 표현하며 자라납니다. 중요한 건 강압이 아닌 존중과 협상, 그리고 일관된 양육입니다.
반응형
'육아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재미로 보는 엄마 vs 아빠 유전 확률 비교 10가지 (0) | 2025.04.17 |
---|---|
경기도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신청방법, 지원내용, 조건 알아보기 (0) | 2025.04.13 |
임신성 당뇨 검사 시기 및 태아 영향 완벽 정리 (0) | 2025.04.11 |
대학병원 의사가 알려주는 15개월 아기 발달 체크리스트 (0) | 2025.04.11 |
아기가 때리는 이유와 대처법, 감정 표현일 수도 있습니다! (0) | 2025.03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