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아이와 외출할 때 손을 잡으려 하면 뿌리치거나 도망가는 행동, 많은 부모님들이 겪는 장면입니다. 하지만 이는 아이의 발달 단계에 따라 자연스러운 행동일 수 있으며, 시기별로 적절한 대응이 중요합니다.

    1. 12개월~24개월 (걷기 시작하는 시기)

    특징

    • 자기주도성이 강하게 나타남
    •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 증가
    • ‘내가 할래!’라는 독립적 행동 시작

    대처법

    • 양손에 장난감이나 인형을 쥐어주는 방법
    • 손목줄 또는 유아 하네스 활용
    • “이 길은 위험하니까 같이 걸어볼까?” 같은 부드러운 요청

    2. 24개월~36개월 (고집이 강해지는 시기)

    특징

    • 자율성이 발달하며 부모의 지시를 거부함
    • “하지 마”라는 말에 반항하기도 함
    • 자신의 의지 표현이 강해짐

    대처법

    • 역할놀이 활용: “오늘은 네가 엄마 손잡아줄래?”
    • 선택권 부여: “왼손으로 잡을까? 오른손으로 잡을까?”
    • 게임처럼 접근: “누가 오래 잡고 있나 해볼까?”

    3. 36개월~5세 (논리력 발달 시기)

    특징

    • 규칙과 위험에 대해 조금씩 이해함
    • 감정 조절은 미숙하지만 대화가 가능

    대처법

    • 손잡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: "차가 다니는 길이니까."
    • “횡단보도 건널 땐 꼭 손잡기” 등의 규칙 사전 약속
    • 잘 잡았을 때 칭찬이나 스티커 보상 활용

    4. 6세 이상 (자존감과 독립성 발달 시기)

    특징

    • 공공장소에서 부모와 손잡는 것을 창피해함
    • 또래 의식과 ‘큰 아이’라는 자의식 강함

    대처법

    • 사람 많은 곳에서는 가까이 걷기 등의 안전 교육
    • 손잡기 대신 눈맞춤이나 음성신호로 대체
    • “네가 앞장서고 내가 뒤에서 지켜볼게” 역할 바꾸기
    부모님께 드리는 조언: 아이가 손잡기를 거부한다고 해서 반항하거나 버릇이 없는 건 아닙니다. 아이는 발달 과정에서 자율성과 독립심을 표현하며 자라납니다. 중요한 건 강압이 아닌 존중과 협상, 그리고 일관된 양육입니다.

    반응형